데이터베이스 이중화 / 서버 클러스터링 ★
p.394, 3-78
1) 데이터베이스 이중화(Database Replication)
- 시스템 오류로 인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중단이나 물리적 손상 발생 시 이를 복구하기 위해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복제해 관리하는 것
2) 데이터베이스 이중화의 분류
기법 |
설명 |
Eager 기법 |
트랜잭션 수행 중 데이터 변경이 발생하면 이중화 된 모든 데이터베이스에 즉신 전달해 변경 내용이 즉시 적용되도록 하는 기법 |
Lazy 기법 |
트랜잭션의 수행이 종료되면 변경 사실을 새로운 트랜잭션에 작성해 각 데이터베이스에 전달되는 기법 |
3)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구성 방법
방법 |
설명 |
활동-대기 (Active-Standby) |
한 DB가 활동 상태로 서비스하고 있으면 다른 DB는 대기하고 있다가 활동 DB에 장애가 발생하면 대기 상태에 있던 DB가 자동으로 모든 서비스를 대신 수행 → 구성 방법 및 관리가 쉬워 많은 기업에서 이용함 |
활동-활동 (Active-Active) |
두 개의 DB가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둘 중 한쪽 DB에 문제가 발생하면 나머지 다른 DB가 서비스를 제공 → 두 DB 모두 처리를 하기 때문에 처리율이 높지만 구성 방법 및 설정이 복잡함 |
4) 서버 클러스터링(Server Clustering)
- 두 대 이상의 서버를 하나의 서버처럼 운영하는 기술
▶ 고가용성 클러스터링: 하나의 서버에 장애 발생 → 다른 서버가 대신 처리
▶ 병렬 처리 클러스터링: 하나의 작업을 여러 개의 서버에 분산해 처리
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 총정리 (시나공, 수제비)
본 정리 글은 시나공과 수제비 필기책의 내용을 압축 요약하여 작성했기 때문에 내용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과 출제 예상문제 및 기출문제를 공부하기 위해서 책을 꼭 참고하시고,
wook-2124.tistory.com
정보처리기사 필기, 실기 공부방법 및 기출문제 무료 공유
<네이버페이 5천원 적립 이벤트> 10/18까지 네이버페이 5,000원을 무료로 주는 이벤트가 진행중이니 한번 확인해보세요🙏 네이버페이 포인트 5천원 무료 적립 이벤트! 모르면 손해!! (초간단) 먼�
wook-2124.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