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구축 ★★
p.731, 5-23
#버트링성망
1) 버스형(Bus) __ 20년 3회 기출문제
- 한 개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
→ LAN에서 사용
- 물리적 구조가 간단하고, 단말장치의 추가와 제거가 용이
- 단말장치가 고장나더라도 통신망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 향상
- 기밀 보장이 어렵고, 통신 회선의 길이에 제한이 있음
2) 계층형(Tree, 트리형, 분산형)
- 중앙 컴퓨터와 일정 지역의 단말장치까지는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연결시키고, 이웃하는 단말장치는 일정 지역 내에 설치된 중간 단말장치로부터 다시 연결시키는 형태
→ 분산 처리 시스템
3) 링형(Ring, 환형, 루프형)
- 컴퓨터와 단말장치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시킨 형태
→ LAN에서 사용
- 분산 및 집중 제어 모두 가능하고 중계기 수가 많아짐
- 단말장치의 추가/제거 및 기밀 보호가 어려움
- 각 단말장치에서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
- 데이터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고, 단방향 링의 경우 컴퓨터, 단말장치, 통신 회선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나면 전체 통신망에 영향을 미침
4) 성형(Star, 중앙 집중형)
- 중앙에 중앙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단말장치들이 연결되는 중앙 집중식의 네트워크 구성 형태
-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회선을 연결
- 단말장치의 추가와 제거가 쉽지만, 중앙 컴퓨터가 고장나면 전체 통신망의 기능이 정지됨
- 중앙 집중식이므로 교환 노드의 수가 가장 적음
5) 망형(Mesh, 네트워크형)
- 모든 지점의 컴퓨터와 단말장치를 서로 연결한 형태로, 노드의 연결성이 높음
- 많은 단말장치로부터 많은 양의 통신을 필요로 하는 경우 유리
- 공중 데이터 통신망에서 사용되며, 통신 회선의 총 경로가 가장 긺
- 통신 회선 장애 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가능
6) 네트워크 분류
분류 |
설명 |
근거리 통신망 (LAN; Local Area Network) |
-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컴퓨터, 프린터, 테이프 등과 같은 자원을 연결하여 구성하며 주로 자원 공유의 목적으로 사용 - 사이트 간의 거리가 짧아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빠르고, 에러 발생율이 낮음 # 주로 버스형, 링형 구조 사용 |
원거리 통신망 (WAN; Wide Area Network) |
- 대륙과 대륙 같이 멀리 떨어진 사이트들을 연결하여 구성 - 사이트 간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통신 속도가 느리고, 에러 발생율이 높음 |
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 총정리 (시나공, 수제비)
본 정리 글은 시나공과 수제비 필기책의 내용을 압축 요약하여 작성했기 때문에 내용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과 출제 예상문제 및 기출문제를 공부하기 위해서 책을 꼭 지참한 후, ��
wook-2124.tistory.com
정보처리기사 필기, 실기 공부방법 및 기출문제 무료 공유
<네이버페이 5천원 적립 이벤트> 10/18까지 네이버페이 5,000원을 무료로 주는 이벤트가 진행중이니 한번 확인해보세요🙏 네이버페이 포인트 5천원 무료 적립 이벤트! 모르면 손해!! (초간단) 먼�
wook-2124.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