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그2

로그 분석 ★ p.813, 5-94 1) 로그(Log)의 개념 - 시스템 사용에 대한 모든 내역을 기록해 놓은 것으로, 이러한 로그 정보를 이용하면 시스템 침해 사고 발생 시 해킹 흔적이나 공격 기법을 파악할 수 있음 2) 리눅스(LINUX)의 주요 로그 파일 ★ 로그 파일명 데몬 내용 커널 로그 /dev/console kernel 커널에 관련된 내용을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해 파일로 저장하지 않고 지정된 장치에 표시 ★ 부팅 로그 /var/log/boot.log boot 부팅 시 나타나는 메시지들을 기록 크론 로그 /var/log/cron crond 작업 스케줄러의 작업 내역 기록 시스템 로그 /var/log/messages syslogd 커널에서 실시간으로 보내오는 메시지들 기록 ★ 보안 로그 /var/log/sec.. 2020. 10. 7.
3과목 추가 정리: 기출문제 ★★★ 1) 병행제어의 로킹(Locking) 단위 ★★ __ 개정 전 기출문제, 20년 1, 2, 3회 기출문제 - 한번에 한 명만 사용할 수 있게 잠그는(Locking) 단위 - 로킹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를 로킹 단위라고 함 - 데이터베이스, 파일, 레코드 등은 로킹 단위가 될 수 있음 -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객체의 크기를 로킹 단위라고 함 ▶ 로킹 단위가 작으면 小 - 로킹 오버헤드가 증가함 - 데이터베이스 공유도가 증가함 ▶ 로킹 단위가 크면 大 - 로킹 오버헤드가 감소함 - 데이터베이스 공유도가 감소함 2) 데이터베이스 로그(log)를 필요로 하는 회복기법 __ 20년 3회 기출문제 #지RE 즉UN ▶ 지연 갱신 기법(Deferred Update) -트랜잭션이 부분 완료 상태에 이르기까지 발생.. 2020.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