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3회4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24 (2021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3회 기출문제 위주) 1. 1)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하는 것 (21년 3회 필기 기출) 2) 동시성 제어를 위한 직렬화 기법으로 트랜잭션 간의 처리 순서를 미리 정하는 방법 (21년 3회 필기 기출) 2. 시스템에 과다 정보량을 부과하여 과부하 시에도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트 (21년 3회 필기 기출) 3. 1) 프로그램 혹은 소스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분석하는 도구로, 소스 코드에 대한 코딩 표준, 코딩 스타일, 코드 복잡도 및 남은 결함 등을 발견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코드에 존재하는 메모리 누수 현황을 발견하고, 발생한 스레드의 결함 등을 분석하기 .. 2021. 8. 15.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23 (2021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2회 기출문제 위주) 1. https://m.blog.naver.com/wook2124/222103004682 (참고) 1) 결합도가 높은 것(Bad)부터 낮은(Good) 순서 (21년 1회 실기 기출) 2) 응집도가 낮은 것(Bad)부터 높은(Good) 순서 (21년 2회 실기 기출) 2.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호스트(Mobile Host)로만 이루어진 통신망으로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이동 노드는 단지 호스트가 아니라 하나의 라우터로 동작하게 되며, 동적으로 경로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반구조 없는 네트워킹이라고도 함 (17년 2회, 21년 2회 실기 기출) 전쟁 중 기지국이 파괴돼도 통신망이 마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군에서는 사용하는 개방형 통신기술 3. 1) 사람(사용자)과 사물 또는 시.. 2021. 7. 10.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17 (2020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3회 기출문제 위주) 1. 1) 소프트웨어 검사 방법 중 하나로 어떤 소프트웨어를 내부 구조나 작동 원리를 모르는 상태에서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검사하는 방법 (20년 3회 실기 기출) 2) 입력 데이터의 영역을 유사한 도메인별로 유효값/무효값을 그룹핑하여 대표값 테스트 케이스를 도출하여 테스트하는 기법 3) 입력 조건의 중간값보다 경계값에서 오류가 발생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해 입력 조건의 경계값을 테스트 케이스로 선정해 검사하는 기법 2. 관계대수 중 두 개의 릴레이션 A 와 B가 있을 때 B의 릴레이션의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튜플들을 릴레이션 A에서 분리해 내어 프로젝션 하는 연산자 기호 (20년 3회 실기 기출) 3. ALTER TABLE 학생 ( ) 주소 CHAR(15); (18년 2회, 20년 3회.. 2020. 10. 17.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16 (시험보기 하루 전 날 공부했던 내용들) DNS는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이다. 개체 무결성은 기본 테이블의 기본키를 구성하는 어떤 속성도 Null값이나 중복값을 가질 수 없다는 규정이다. 스래싱은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이다. 클러스터는 동일한 성격의 데이터를 동일한 데이터 블록에 저장하는 물리적 저장 방법이다. 제어의 역행은 개발자가 관리하고 통제해야 하는 객체들의 제어 권한을 프레임워크에 넘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오류-부재의 궤변이란 결함을 모두 제거했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한다면 품질이 높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성은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주기억장치를 참조.. 2020. 10.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