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수2

속성(Attribute) ★ p.307 1) 속성의 정의 및 특징 -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 파일 구조상의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 - 개체를 구성하는 항목 및 개체의 특성을 기술 - 속성의 수를 디그리(Degree) 또는 차수라고 함 ★ cf) 튜플(Tuple)의 수는 카디널리티(Cardinality) ★ 2) 속성의 특성에 따른 분류 종류 설명 기본 속성 (Basic Attribute) 업무 분석을 통해 정의한 속성 ex) 자동차명, 제조일, 연비 설계 속성 (Designed Attribute) 원래 업무상 존재하지 않고 설계 과정에서 도출해낸 속성 ex) 자동차 코드 파생 속성 (Derived Attribute) 다른 속성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속성 ex) 계산 값 #기설파 3) 개체 구.. 2020. 10. 2.
자료구조 ★★ p.162, 2-2 1) 자료 구조의 분류 ▶ 선형 구조(Linear Structure) - 배열(Array) - 스택(Stack) - 큐(Queue) - 데크(Deque) - 선형 리스트(Linear List) = 연속 리스트(순차적임), 연결 리스트(순차적이지 않음) ▶ 비선형 구조(Non-Linear Structure) - 트리(Tree) - 그래프(Graph) 2) 배열(Array) - 정적인 자료 구조로 기억장소의 추가가 어렵고 메모리의 낭비가 발생함 - 첨자를 이용 - 반복적인 데이터 처리 작업에 적합한 구조 - 데이터마다 동일한 이름의 변수를 사용해 처리가 간편함 3) 스택(Stack) - 리스트의 한쪽 끝으로만 자료의 삽입, 삭제 작업이 이뤄지는 자료 구조 - 후입선출(LIFO; Last .. 2020.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