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기24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29 (2022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3회 기출문제 위주) 1. 컴퓨터 제작 회사가 사용자의 요구대로 만들어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 체제와 응용 소프트웨어의 중간에서 조정과 중개의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22년 3회 필기 기출) 2.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신호 감쇄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에서 데이터를 증폭시켜 더 강한 신호로 만들어 주는 장비 (22년 3회 필기 기출) 3. 데이터가 각 프로세스를 따라 흐르면서 변환되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 (22년 3회 필기 기출) 4. ( ① )은 어떤 모듈을 제어하는 모듈의 수를 나타내고, ( ② )은 어떤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모듈의 수를 나타냄 (20년 1회 실기, 22년 3회 필기 기출) 5. EAI 구축 유형 1) 가장 기초적인 애플리케이션 통합방법으로 1:1 단순 통합방법 (20년 3회.. 2022. 7. 10.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26 (2022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 기출문제 위주) 1. 영문으로 작성하시오. (객체지향 기법) 1) 객체의 상세한 내용을 개체 외부에 감추고 메시지를 통하여 다른 객체와 상호작용하며 구현부가 변경되어도 변경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보 은닉의 특징을 갖고, 서로 관련성이 많은 데이터와 이와 관련된 함수들을 한 묶음으로 처리하는 기법 2) 상위 클래스의 메소드와 속성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받는 것을 의미하는 것 (22년 1회 필기 기출) 3) 하나의 메시지에 대해 각 객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방법으로 응답할 수 있는 능력 4)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고 객체의 가장 중요한 것에만 중점을 두어 간략화 시킨 것으로, 공통 성질을 추출하여 클래스를 설정하는 기법 2. 객체 지향 시스템을 개발할 때 산출물을 명세화, 시각화, 문서화하는데 사용된다... 2022. 3. 5.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16 (시험보기 하루 전 날 공부했던 내용들) DNS는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이다. 개체 무결성은 기본 테이블의 기본키를 구성하는 어떤 속성도 Null값이나 중복값을 가질 수 없다는 규정이다. 스래싱은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이다. 클러스터는 동일한 성격의 데이터를 동일한 데이터 블록에 저장하는 물리적 저장 방법이다. 제어의 역행은 개발자가 관리하고 통제해야 하는 객체들의 제어 권한을 프레임워크에 넘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오류-부재의 궤변이란 결함을 모두 제거했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한다면 품질이 높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성은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주기억장치를 참조.. 2020. 10. 16.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총정리 (시나공, 수제비) 본 정리 글은 정보처리기사 시나공과 수제비 필기책의 내용을 압축 요약하여 작성했기 때문에 내용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과 출제 예상문제 및 기출문제를 공부하기 위해서 책을 꼭 지참한 후, 본 글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시나공: p.26수제비: 1-14기출문제: 00년 0회 기출문제 중요도: ★, ★★, ★★★키워드: ____두음암기: # ____산출물: # " "[공지]본 정리 글은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기준으로 정리된 내용입니다.이후의 필기 내용과는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이 점 참고하셔서 최근에 나온 책을 구매하신 후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1과목 정리집 무료 공유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20문제) -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SDLC(Software Developm.. 2020. 9. 29.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15 1. 1) JAVA 기반의 오픈 소스 형태로 SVN, Git 등 대부분의 형상 관리 도구와 연동이 가능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빌드 자동화 도구 2) Groovy를 기반으로 한 오프 소스 형태의 자동화 도구로,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 앱 개발 환경에서 사용되지만 플러그인을 설정하면 JAVA, C/C++, Python 등의 언어도 빌드가 가능하고, 실행할 처리 명령들을 모아 태스크(Task)로 만든 후 태스크 단위로 실행하는 빌드 자동화 도구 2. ITU-T에 의해 표준으로 작성된 ISDN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유연한 대역폭을 할당하며 1~2계층만 담당하고, 망의 성능 향상을 위해 에러 제어 기능과 흐름 제어 기능을 단순화 하고 기술적으로는 X.25에 비해 우위에 있는 프로토콜.. 2020. 7. 22.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