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39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19 (2021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 기출문제 위주) 1. 인터넷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영화·교육 등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21년 1회 필기 기출) 2. 모든 하드웨어가 가상화되어 가상 자원의 풀(Pool)을 구성하고, 데이터 센터 전체를 운영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한 기능 및 규모에 따라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이터 센터 3.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장거리 무선 통신을 필요로 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저전력 장거리(LPWA; Low-Power Wide Area) 통신 기술 4.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관리자가 사용하는 기능을 모듈화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21년 1회 필기 기출) 5. 소셜 네트워크에서 악의적인 사용자가 지인 또는 특정 유명인으로 가장하여 활동하는 공격 기법 (21년 1회 필기 기출) 로그온한 .. 2021. 3. 7. 2021년 정보처리기사 1회 필기시험 기출문제 오답 실기시험에 연동되어 나올만한 부분은 아래 실기 모의고사로 만들어 두겠습니다. 믿고 공부해주세요!!💪 (+ 시험지 보내주신 "Protected"님 감사합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모음 (1~18) 2020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2회 때는 20문제 중 9문제를 맞췄습니다🤩 (RTO, AJAX, IPSec, 정적 분석 도구, SOAP, 유효성, 형상관리) (SQL Injection, Rollback) 2020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3회 때는 20문제 중.. wook-2124.tistory.com 1. 소프트웨어 설계 [2021년 정보처리기사 1회 필기시험] 2. 기본 유스케이스 수행 시 특별한 조건을 만족할 때 수행하는 유스케이스는? ① 연관 ② 확장 ③ 선택 ④ 특화 관계를 식별.. 2021. 3. 7.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18 (2020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4·5회 기출문제 위주) 1. 일반 PC급 컴퓨터들로 가상화된 대형 스토리지를 형성하고, 다양한 소스를 통해 생성된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오픈 소스 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 (16년 3회, 20년 4·5회 실기 기출) 2. 1) 네트워크 중간에서 자신이 아닌 남의 패킷 정보를 도청하는 해킹 기법의 하나이다. 주로 자신에게 와야할 정보가 아닌 정보를 자신이 받도록 조작하는 행위를 말한다. (20년 4·5회 실기 기출) 2) '기웃거리다, 염탐하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네트워크 상에 떠도는 중요 정보를 몰래 획득하는 행위 3) 외부의 악의적 네트워크 침입자가 웹사이트를 구성해 사용자들을 속여 방문을 유도한 뒤,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의 구조적 결함을 이용해 사용자의 시스템 권한을 획득한 뒤 정보를.. 2020. 11. 30.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17 (2020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3회 기출문제 위주) 1. 1) 소프트웨어 검사 방법 중 하나로 어떤 소프트웨어를 내부 구조나 작동 원리를 모르는 상태에서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검사하는 방법 (20년 3회 실기 기출) 2) 입력 데이터의 영역을 유사한 도메인별로 유효값/무효값을 그룹핑하여 대표값 테스트 케이스를 도출하여 테스트하는 기법 3) 입력 조건의 중간값보다 경계값에서 오류가 발생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해 입력 조건의 경계값을 테스트 케이스로 선정해 검사하는 기법 2. 관계대수 중 두 개의 릴레이션 A 와 B가 있을 때 B의 릴레이션의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튜플들을 릴레이션 A에서 분리해 내어 프로젝션 하는 연산자 기호 (20년 3회 실기 기출) 3. ALTER TABLE 학생 ( ) 주소 CHAR(15); (18년 2회, 20년 3회.. 2020. 10. 17.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16 (시험보기 하루 전 날 공부했던 내용들) DNS는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이다. 개체 무결성은 기본 테이블의 기본키를 구성하는 어떤 속성도 Null값이나 중복값을 가질 수 없다는 규정이다. 스래싱은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이다. 클러스터는 동일한 성격의 데이터를 동일한 데이터 블록에 저장하는 물리적 저장 방법이다. 제어의 역행은 개발자가 관리하고 통제해야 하는 객체들의 제어 권한을 프레임워크에 넘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오류-부재의 궤변이란 결함을 모두 제거했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한다면 품질이 높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성은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주기억장치를 참조.. 2020. 10. 16.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