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11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32 (2023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1회 기출문제 위주) 1. Microsoft에서 제안한 'PPTP' 및 Cisco에서 제안한 'L2F(Layer 2 Forwarding)'를 조합하여 만든 VPN으로, 보통 IPsec과 같은 보안용 프로토콜과 같이 사용함 (23년 1회 실기 기출) 2. 1)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구조, 자료의 표현 방법, 자료 간의 관계를 형식 언어로 정의한 구조이다. (20년 3회 실기 기출) ​ 2) 위 구조의 3단계를 작성하시오. (정답 3개) (23년 1회 실기 기출) 3. rsh, rlogin, Telnet의 보안이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로, 높은 안정성을 보장하며 포트번호 22번을 사용하는 원격 접속 프로토콜 (20년 3회 기능사 실기 기출) ​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 2023. 4. 23.
IT 실무용어 파헤치기 21 - VOC / RNR / On-boarding (온보딩) / Janus (야누스) / MAU, DAU, MCU, ACU VOC(Voice Of Customer) 기업의 경영 활동에 있어서 고객들이 기업의 서비스에 반응하는 각종 문의, 불만, 제안 등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VOC을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는 주로 콜센터 등에서 사용하는 CRM의 고객지원 시스템을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상담원의 고객상담메모, 고객지원 게시판이며, 최근에는 블로그, 트위터, 커뮤니티 사이트의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확보가 가능한 고객제품, 서비스의 반응 등 데이터를 포괄적으로 포함합니다. ​ * 참고: http://www.saltlux.com/smartSolution/voc.do?menuNumber=5 RNR(Role & Responsibility) “역활과 책임”, “권한과 책임” ​ * 참고: https://m.blog.naver.com/mgetm.. 2022. 12. 14.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31 (2022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3회 기출문제 위주) 1. 한 번의 시스템 인증을 통하여 여러 정보시스템에 재인증 절차 없이 접근할 수 있는 통합 로그인 기술 (개정 전 기출문제) ​ - 시스템이 몇 대가 되어도 하나의 시스템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다른 시스템에 대한 접근 권한도 얻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 (21년 3회 필기, 22년 3회 실기 기출) 2. 1)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고안된 방식으로, FCFS(FIFO) 알고리즘을 선점 형태로 변형한 기법 (22년 3회 실기 기출) ​ 2) 프로세스가 도착하는 시점에 따라 그 당시 가장 작은 서비스 시간을 갖는 프로세스가 종료 시까지 자원을 점유하는 방식으로 준비 큐 작업 중 가장 짧은 작업부터 수행하고, 평균 대기시간이 최소가 되는 프로세스 스케줄링 알고리즘 (22년 3회 실기 기출) ​ 3) 비선점 스케줄.. 2022. 10. 30.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30 (2022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2회 기출문제 위주) ​ 1. 1) ( )은 관계 데이터 모델의 제안자인 코드(E. F. Codd)가 수학의 Predicate Calculus(술어 해석)에 기반을 두고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위해 제안한 것으로, 원하는 정보가 무엇(What)이라는 것만 정의하는 비절차적 특성을 갖고 있는 연산 체계이다. (22년 2회 실기 기출) - 튜플 ( ), 도메인 ( ) ​ 2) ( )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어떻게(How)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연산 체계이다. 2. ( )는 스위스에서 1990년 Xuejia Lai, James Messey가 만든 PES를 개량하여, 1991년에 제작된 블록 암호 알고리즘이다. 현재 가장 안전하고 최고라고 여겨지는 알고리즘으로, 블록.. 2022. 7. 24.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예상 모의고사 문제 29 (2022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3회 기출문제 위주) ​ 1. 컴퓨터 제작 회사가 사용자의 요구대로 만들어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 체제와 응용 소프트웨어의 중간에서 조정과 중개의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22년 3회 필기 기출) 2.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신호 감쇄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에서 데이터를 증폭시켜 더 강한 신호로 만들어 주는 장비 (22년 3회 필기 기출) 3. 데이터가 각 프로세스를 따라 흐르면서 변환되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 (22년 3회 필기 기출) 4. ( ① )은 어떤 모듈을 제어하는 모듈의 수를 나타내고, ( ② )은 어떤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모듈의 수를 나타냄 (20년 1회 실기, 22년 3회 필기 기출) 5. EAI 구축 유형 1) 가장 기초적인 애플리케이션 통합방법으로 1:1 단순 통합방법 (20년 3회.. 2022. 7. 10.